투명방음벽과 흡음방음벽을 혼합한 아파트 방음벽 설치현장
오늘은 자동차전용도로 옆에 건설되는 신축 아파트방음벽 설치 현장을 소개합니다.
이 현장은 큰 도로가 양쪽으로 접해는 있는 곳이예요.
정문쪽은 대학병원을 끼고 있는 도로가 있고, 다른쪽은 자동차전용도로가 인접해있는 곳입니다.
짧게 표시한 라인의 당초 계획은 전체를 8M 높이의 투명방음벽으로 계획했으나,
병원앞 도로를 저소음탄성포장으로 변경하여 투명방음벽 높이를 4M로 바뀌었답니다.
자동차전용도로 라인은 방음벽기초 포함 총 10M 높이의 방음벽으로 계획되어 있어서 현장 조사부터 진행되어야 합니다.
방음벽이 세워질 라인과 인접한 곳에 고압가스관과 광케이블이 매설되어 있습니다.
방음벽기초 공사시 지하지장물을 가장 조심해야 합니다.
가스관, 고압선, 광케이블 등등 이런 시설물들은 손상시 지역주민 불편뿐 아니라 복구비용이 엄청나게
들기 때문에 매우매우 신경써서 작업을 진행해야 합니다.
현장 정경은 아래 사진과 같습니다. 도로 바로 옆쪽으로 방음벽이 세워져야 합니다.
현장 답사까지 했으니, 발주처로 부터 구조계산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받아 구조기술사와 협업을 해야합니다.
도로를 건설할 당시 주관부서에 협조를 구해 도로가 건설되어질 당시 절토부인지 성토부인지,
방음벽기초를 어떤 타입의 기초로 해야할지에 관련 자료가 있어야 되는데, 이 부분은 원청에서 협의해
주어서 구조계산은 편리하게 진행되었답니다.
아래와 사진처럼 방음벽 구조계산이 완료되면 공사를 진행합니다.
방음벽기초를 자립식 말뚝기초 타입을 정해졌기 때문에 터파기 및 바닥정지 작업부터 해야합니다.
하지만 도로변에서 작업해야 하기 때문에 공사안내와 공사안내 표지판들을 세워야합니다.
공사 안내표지판을 라바콘 설치가 되면 장비를 현장내로 진입시켜 작업을 개시합니다.
말뚝기초 타입은 터파기나 지반정지 작업은 L형옹벽 타입보다는 간단하게 진행할 수 있습니다.
다만, 천공에 앞서 지장물 조사는 철저히 해야하겠죠. 이제 천공을 시작할 단계입니다.
천공작업 후 즉시 H파일을 근입할 수 있도록 H빔을 배열해 놓아둡니다.
천공기 크레인으로 바로 H빔을 설치하는 작업을 진행하면 아래와 같은 사진처럼 됩니다.

뒤에 따라붙은 트럭위에 4각형 박스가 항타시 타격을 가실 수 있도록 하는 공기압축기입니다.
저 녀석이 굉장히 많은 연료를 소모한답니다. 하루 작업에 200~300리터를 소비합니다.
아래사진은 작업 완료 후 사진입니다.

이제 기초벽체를 시공할 차례입니다.
벽체 철근조립 후 거푸집 설치가 완료되면 방음벽 앵커볼트를 시공해야 할 차례입니다.
이번 앵커볼트는 방음벽지주 한개소에 M30 앵커볼트 6EA가 시공될 예정입니다.
방음벽 앵커볼트를 시공중입니다.
방음벽 연장이 길어서 몇번으로 나누어서 앵커용접이 이루졌습니다.
이 부분은 단차옹벽 부분입니다.
경사가 가파르면 단차옹벽으로 시공하고 경사가 3%미만으로 완만하면 구배에 따른 경사옹벽으로 시공하면 됩니다.

이제 콘크리트 타설 후 거푸집 해체만 끝나면 방음벽 기초 시공이 완료됩니다.
이제 방음벽기초 공사가 완료 되었습니다.
자동차 전용도로변 경사면에 긴설하는 방음벽이라 방음벽기초 공사가 평지에 건설되는 방음벽기초 보다는
까다로움이 있었지만 잘 시공되어졌네요.
이제 방음벽 지주를 설치하면 됩니다. 먼저 방음벽 지주를 도로변에 반입해야 하는데 차들이 씽씽달니는 전용도로라서
조심조심해서 반입해야 할 것 같습니다.
카고크레인으로 방음벽지주를 설치합니다.
방음벽 지주 설치가 되면, 방음판을 삽입합니다.
경간에 따라 비규격 경간이 나오면 비워두고, 정규격 방음판을 속도감 있게 설치합니다.
속도감있게 설치하지만, 안전에 만전을 기하며 조심조심 방음벽설치를 진행한답니다.



이런 위 과정들을 거쳐 마지막 공정까지 진행되었네요. 아래 사진은 도로방음벽이 완성된 사진입니다.




방음벽 설치 공사가 무사히 완료 되었습니다.
신설 아파트 부지내 투명방음벽 공사를 시작으로 부지 밖 기부체납분 도로방음벽까지 완료되었네요.
방음벽에 관련된 문의가 있으시면 언제든 연락주세요.
홈페이지게시판이나 블로그문의하기 또는 전화로 연락주시면 성심 성의껏 알려드리겠습니다.
긴 내용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