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주파소음을 타켓으로 특수 고흡음방음벽을 설치한 안양하수처리장 새물공원

흡음판, 설치 전에 꼭 확인해야 할 3가지 성능 기준 

흡음판, 설치 전에 꼭 확인해야 할 3가지 성능 기준

시끄러운 공장, 반사음 심한 도로, 울리는 실내…
흡음판 설치는 ‘효과’를 보기 위해 하는 거잖아요?
하지만 흡음판은 아무거나 골라서는 효과 없습니다.
설치 전에 ‘이것’ 3가지는 꼭 확인하세요.

왜 ‘흡음판 성능’이 중요할까요?

소음은 눈에 보이지 않지만, 일상의 피로를 높이고 집중력을 떨어뜨립니다.
특히 반사음이 많은 공간에서는 소음이 두 배로 들리기도 합니다.

이때 설치하는 흡음판이 제대로 된 성능을 가진 제품이라면, 소리를 흡수해 공간이 조용해지고, 체감 소음이 5~10dB 이상 감소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아무거나 설치하면요?
돈 들이고도 체감효과는 ‘제로’입니다.

GE_LNG 터빈발전기 방음에 적용한 NH고흡음방음판 흡음0호 NRC1.0이상 제품
GE_LNG 터빈발전기 방음에 적용한 NH고흡음방음판 흡음0호 NRC1.0이상 제품

 

✅ 설치 전 꼭 체크해야 할 3가지 성능 기준

1. 흡음률 (Noise Reduction Coefficient, NRC)

NRC는 차음성능과 함께 가장 중요한 기준입니다.

소리를 얼마나 잘 흡수 하느냐를 수치로 나타낸 것입니다.

– NRC 0.6 이상이면 흡음재로 인정 (기준: ASTM C423 또는 ISO 11654 시험 기준)

– NRC 0.7 이상이면 흡음판(흡음4호]로 인정 (환경부고시 [방음벽성능 및 설치기준 2002.12개정]을 기준)
– NRC 0.85 이상이면 고흡음성능 제품(흡음1호)으로 분류됩니다.
– NRC 1.0 이상이면 고흡음성능 제품(CEN등급, 0등급)으로 분류됩니다.

예: NRC 0.75인 제품 → 100dB 소음 중 75dB를 흡수
예: NRC 0.35인 제품 → 절반 이상 소음이 그대로 반사됨

방음판의 흡음 성능은 주로 감음계수(NRC: Noise Reduction Coefficient)값으로 평가되며, 이 NRC 값에 따라 등급이 나뉘어집니다.

대한민국 KS 기준 및 관련 규정에 따른 방음판 흡음 등급은 다음과 같습니다:

[표] NRC 수치 기준에 따른 흡음판 분류 및 설명

NRC 수치 기준 등급/분류 설명
0.6 이상 흡음재로 인정 (ASTM C423 / ISO 11654) 세계표준기관 기준으로 흡음재 인정
0.7 이상 흡음4호 (국내 환경부 기준) 국내 방음벽 설치 기준에서 흡음판으로 인정
0.85 이상 흡음1호 (국내 고흡음 성능) 국내 기준에서 고성능 흡음판 등급
1.0 이상 흡음0호 (유럽 CEN 등급) CEN 기준의 최상위 흡음 등급
0.35 사례 예시: 절반 이상 소음 반사 흡음 성능이 낮아 대부분의 소음이 반사됨

NRC(Noise Reduction Coefficient)란?

소음 감소 계수로, 특정 재료가 소리를 얼마나 잘 흡수하는지를 나타내는 단일 숫자 값입니다.

NRC 0은 소리가 완전히 반사됨(흡음 효과 없음)을 의미하고,

NRC 1은 해당 제품의 표면적이 100% 완벽하게 소리를 흡수함을 의미합니다.

NRC는 250Hz, 500Hz, 1000Hz, 2000Hz의 네 가지 주파수에서 흡음률을 측정하여 산술 평균값을 낸 것입니다.

 

흡음성능 측정은 KS F 2805(잔향실법에 의한 흡음률 측정)또는 ISO 354규격에 따라 이루어집니다.

일반적인 방음벽의 흡음률 기준:

흡음형 방음벽:NRC 0.7 이상을 표준으로 합니다.

투과손실 (차음 성능):흡음 성능 외에 소음이 방음판을 통과하는 것을 막는 차음 성능도 중요한데,

이는 투과손실(TL: Transmission Loss)로 표현됩니다.

500Hz 음에 대해 25dB 이상

1000Hz 음에 대해 30dB 이상을 표준으로 합니다.

 

참고 사항:

NRC 값은 제품의 흡음 성능에 대한 일반적인 정보를 제공하지만, 실제 설치 환경 (설치 위치, 공간 형태, 공간 내 총 반사 또는 흡음 소재의 양, 거주자 수 등)에 따라 체감 효과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방음판 선택 시에는 흡음 성능(NRC)과 함께 차음 성능(투과손실)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하며, 필요에 따라 전문가와 상담하여 적절한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2. 구조안정성

구조안정성 부분은 챕터가 조금은 방대해서 한줄 요약하기는 제 실력으로는 힘이 드는 관계로 다음번에 별도로 게재하기로 하겠습니다.

3-1. 흡음성능 Data 보유 여부

“흡음기능 있습니다”라는 말만으로는 안 됩니다.
공인시험기관의 시험성적서가 있어야 합니다.

– 시험 기준: ISO 354, ISO 11654, ASTM C423 등
– 공인기관: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KCL),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KTR) 등

실제 흡음재를 고를 때는 다음과 같이 확인하세요:


✅ 성적서에 NRC 또는 αw 수치가 있는가? [국내에서는 그리고 산업시설에서는 NRC를 적용] 음향에서는 aw
NRC와 αw의 차이점:

NRC (Noise Reduction Coefficient – 감음계수):

250Hz, 500Hz, 1000Hz, 2000Hz의 4개 주파수 대역에서 측정한 흡음률의 산술 평균값입니다.

단일 숫자로 표현되어 이해하기 쉽지만,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의 상세한 흡음 성능 정보를 제공하지는 못합니다.

주로 일반적인 소음 감소 효과를 평가할 때 사용됩니다.

αw (Weighted Sound Absorption Coefficient – 가중 흡음률):

ISO 11654표준에 따라 측정 및 계산됩니다.

더 넓은 주파수 범위(보통 125Hz ~ 4000Hz)에 걸쳐 흡음률을 측정하고, 각 주파수 대역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하나의 값으로 나타냅니다.

이 가중치는 인간의 귀가 소리를 인지하는 방식과 실내 음향 환경에서 중요한 주파수 대역을 고려하여 결정됩니다.

αw 값은 0에서 1 사이의 값을 가지며, 1에 가까울수록 흡음 성능이 우수함을 의미합니다.

αw 값 뒤에는 일반적으로 **흡음 등급(Absorption Class)**이 함께 표기됩니다 (예: A, B, C, D, E). 이 등급은 αw 값의 범위에 따라 나뉩니다.

Class A: αw 0.90, 0.95, 1.00

Class B: αw 0.80, 0.85

Class C: αw 0.60, 0.65, 0.70, 0.75

Class D: αw 0.30, 0.35, 0.40, 0.45, 0.50, 0.55

Class E: αw 0.15, 0.20, 0.25

Class F: αw 0.00, 0.05, 0.10 (흡음 성능이 매우 낮음)

αw는 NRC보다 더 정교하고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흡음 성능 지표로 간주됩니다.

특히 건축물의 실내 음향 설계나 특정 주파수 대역의 소음 제어가 필요한 경우에 유용합니다.

요약하자면, NRC와 αw 모두 재료의 흡음 성능을 나타내지만, αw는 더 넓은 주파수 대역을 고려하고 가중치를 적용하여 보다 상세하고 국제적인 표준에 부합하는 지표라고 할 수 있습니다.

αw 흡음 등급별 세부 분류표

 

흡음 등급 (Absorption Class) αw 수치 범위 흡음 성능 설명 주요 적용 공간 및 용도
Class A 0.90–1.00 매우 우수한 흡음 성능. 실내 잔향시간 감소에 효과적. 주로 음악실, 방송실, 고급 음향 공간에 사용. 공연장, 음악 연습실, 레코딩 스튜디오, 극장
Class B 0.80–0.85 우수한 흡음 성능. 강의실, 회의실, 병원 등의 음향 품질 향상에 적합. 강의실, 회의실, 병원 진료실, 방송국
Class C 0.60–0.75 보통 수준의 흡음 성능. 사무실, 학교 교실, 일반 상업 공간 등에 사용. 학교 교실, 사무실, 일반 회의 공간
Class D 0.30–0.55 흡음 효과가 제한적이며, 흡음보다는 반사가 더 많음. 흡음보완재와 병행 권장. 복도, 로비, 창고 등 반사 제어 보완 공간
Class E 0.15–0.25 흡음 효과가 낮음. 기능성보다 장식적 마감재로 분류 가능. 상업 인테리어 벽면, 장식용 패널
Class F 0.00–0.10 흡음 기능이 거의 없음. 반사음이 많은 공간에서는 사용 지양. 경량 마감재, 비음향용 장식재

 

 

3. 흡음 주파수 대역

소리는 주파수에 따라 다르게 들립니다.
따라서 “어떤 소리를 잡을 것인지”에 따라 흡음재도 달라져야 합니다.

– 공장 소음 → 저주파 (125~500Hz) 흡음 성능 중요
– 차량 소음 → 중주파 (500~1000Hz) 흡음 필요
– 금속 충격음 등 → 고주파 (2000Hz 이상) 흡음재 선택

흡음판 성능표에 ‘주파수별 흡음률’이 나와 있다면, 자신의 현장 소음대역과 잘 맞는지를 꼭 비교해 보셔야 합니다.

흡음방음판 종류별 성능 비교표
흡음방음판 종류별 성능 비교표

[표 ] 흡음방음판 종류별 주파수대별 흡음 성능

 

2 흡음방음판 종류별 성능 비교 그래프
2 흡음방음판 종류별 성능 비교 그래프

[표 ] 흡음방음판 종류별 주파수대별 성능 그래프 

***소음 주파수 분류 및 기술적 근거 정리***
A. 주파수 대역 분류의 기술적 근거

📘 1) ISO 226 / ISO 1996-1 (국제 표준)

ISO 226:2003 – 인간 청각의 등청감 곡선 제시 (청감 한계는 20Hz 전후부터 시작)
ISO 1996-1:2016 – 환경소음의 측정 및 평가 시 1/1 옥타브 대역 기준 사용

분류 주파수 기준 (Hz) ISO/청감 기준 요약
초저주파 0–20 청감이 어려움 (비청감역)
저주파 20–500 청감 시작 ~ 공간 공진/울림 가능 대역
중주파 500–2000 인간이 가장 민감하게 듣는 범위 (주 대화 영역)
고주파 2000 이상 자극적이고 날카로운 소음 감지 대역

📚 출처:
ISO 1996-1:2016, “Acoustics — Description, measurement and assessment of environmental noise — Part 1: Basic quantities and assessment procedures”
ISO 226:2003, “Acoustics — Normal equal-loudness-level contours”

B. 대한민국 국내 기준 및 학술자료 근거

📗 국토교통부 『도로소음저감시설 설치 및 관리지침』 (2021)

방음벽 성능시험 시 1/1 옥타브 밴드 기준으로 125Hz, 250Hz, 500Hz, 1000Hz, 2000Hz 등 측정
이 중 125Hz, 250Hz, 500Hz → 저주파 대역으로 분류

📗 KICT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및 KCL 발행 흡음시험성적서
NRC 산출 시 250, 500, 1000, 2000Hz 기준 → 이 중 250Hz 이하 대역을 저주파 성능판별 기준으로 간주

📚 출처:
국토교통부 도로소음저감시설 설치 및 관리지침 (202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방음시설 성능 시험자료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KCL) 시험성적서 예시

C. 대표 소음 주파수 예시 근거
소음원 주요 주파수 대역 근거 자료
디젤엔진 63~250Hz KOSHA GUIDE H-65-2015 산업소음 분석
공장 환풍기 125~500Hz KIMM(한국기계연구원) 공기흐름 소음 보고서
일반 승용차 500~2000Hz 현대차 NVH자료, 자동차 음향 논문
금속 충격음 2000Hz 이상 건축물 내 소음발생 특성 연구 (한국음향학회지)
공장 경보 3000~4000Hz 산업용 알람 시스템 음원 주파수 기준
저주파소음을 타켓으로 특수 고흡음방음벽을 설치한 안양하수처리장 새물공원
저주파소음을 타켓으로 특수 고흡음방음벽을 설치한 안양하수처리장 새물공원

📝 마무리 체크리스트

흡음판 구매 전 이 3가지만 확인하세요.

체크 항목 기준 확인 방법
흡음률(국내기준) NRC ≥ 0.7 시험성적서
구조안정성 지역기준 적용풍속 풍속대비 안정성 검토
주파수 대응 현장 소음대역에 적합한지 제품별 주파수별 성능비교

결론: 흡음판은 ‘성능이 수치로 보장된 제품’만 선택하세요

흡음판을 단다고 무조건 조용해지지 않습니다.
‘NRC 수치’, ‘ 성적서확인’, ‘주파수 대응’, 이 3가지를 꼭 보고 선택해야 설치 후에도 “진짜 조용해졌네!” 하는 반응을 얻을 수 있습니다.


✔️ 흡음판 선택이 어렵다면?
저희 성원방음벽에서 시공 환경에 맞는 흡음 자재 상담도 가능합니다.
현장 분석부터 제품 제안까지 도와드립니다.

방음벽이란? 도로와 공장을 조용하게 만드는 기술 

더 많은 사례를 확인하시려면

성원방음벽 시공 현장 갤러리

문의 하실 내용이 있으시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

실외기 소음, 그 원인과 해결 방법 총정리

 

 

Posts created 9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Related Posts

Begin typing your search term above and press enter to search. Press ESC to cancel.

Back To Top
error: Content is protected !!